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진상 규명이 한창인 사건이 하나 더 있죠.<br> <br>탈북 어민 강제 북송과 관련한 단독 보도로 이어갑니다. <br> <br>여권에서는 강제 북송 배경에 당시 북한과의 관계가 영향을 미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고 있는데요. <br> <br>강제 북송 직후 문재인 정부가 2032년 서울-평양 하계 올림픽 공동유치 계획안을 마련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의 취재 내용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2019년 11월 7일, 탈북 어민 북송은 나포부터 합동 신문까지 불과 5일 만에 신속하게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[김연철 / 당시 통일부 장관(2019년 11월 7일)] <br>"합동신문의 방식과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꾸준하게 발전을 해 나가고 있습니다. 3일 정도면 사실은 충분히 자세한 내용의 진술을 확보할 수 있는…." <br><br>여권 관계자는 "탈북 어민 2명은 안대를 쓰고 손이 묶인 채 판문점으로 갔다"며 "한 명은 안대가 풀리자 북송되는 걸 알고 벽에 머리를 박았고, 다른 한 명은 체념한 듯 그 자리에서 오열했다"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.<br> <br>강제북송이 이뤄졌던 시점은 당시 정부가 스포츠 외교를 통해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로 경색된 남북관계를 돌파하려고 시도하던 때였습니다. <br> <br>실제 문화체육관광부는 2019년 11월 '2032 하계 올림픽 서울-평양 공동유치 및 개최계획안'을 작성했습니다. <br> <br>강제 북송이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입니다. <br><br>계획안에는 '남북간 교류 협력 활성화로, 남북 동질성 회복의 획기적 계기가 기대 된다'는 내용과 함께 대회 개최 계획과 향후 일정 등이 담겼습니다.<br> <br>이 계획안은 이듬해 1월 문재인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. <br><br>박양우 당시 문체부 장관은 "남북올림픽 공동 개최는 오래전부터 계획됐던 것"이라며 "어떤 하나의 사건으로 결정되지 않는다"고 강제 북송과의 연관 가능성을 부인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